자료조사(6)
-
지리데이터 수집이 용이한 국토정보맵
https://map.ngii.go.kr/ms/map/NlipMap.do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선택 선택 map.ngii.go.kr 공간정보 받기, 국토통계지도, 정밀도로지도 등 국토자료를 받기 용이하다. 동단위나, 격자로 쪼개어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원가입만 하면 다운을 받을 수 있어 좋은 사이트
2024.03.14 -
환경변수를 이용한 API 크롤링 /서울시 열린데이터 광장 사용
왜 환경변수를 이용해야 할까? 깃허브나 스트림릿처럼 배포가 되는 사이트에 나의 인증키가 올라가면 보안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공공데이터를 사용할때 받는 인증키를 가리고 업로드하고 변수지정을 통해 다른사용자들이나 팀원들간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 코드 # _*_ coding:utf-8 _*_ import streamlit as st import requests import pandas as pd from dotenv import load_dotenv import os #.env파일이 활성화됨 load_dotenv() SERVICE_KEY =os.getenv('SEOUL_API_KEY') data = None for j in range(1,3): url = f'http://openapi.seoul.go..
2024.02.01 -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필자는 깃허브에서 스트림릿에 배포를 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뜨면서 절대경로와 상대경로의 차이점을 숙지하게되었다. 절대경로 컴퓨터의 파일을 찾는 방법은 절대경로로 파일을 찾는 방법 한가지 뿐이다. 절대경로란 최초의 시작점으로 부터 경유한 경로를 전부 기입 하는 방식이다. 예시) C:\Users\UserID\Desktop\main.py 이렇게 최상단의 경로부터 전부 기입되 상태를 절대경로라고 한다. 상대경로 상대경로는 현재의 위치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상대적이라는 개념을 이해 해야한다.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위치를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나 파일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경로이다. 이러한 방법은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면서도 변경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예시) Desktop\main.py main.py 결론..
2024.01.30 -
캐시메모리(Cache Memory)가 무엇인가?
필자는 최근 데스크탑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cpu를 교체하면서 cpu의 캐시메모리가 높으면 램클럭이 영향을 잘 안받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때문에 L3의 캐시메모리가 많은 5800x3d CPU를 선택하였다(am4소켓을 사용하기 때문에 7800x3d를 못사용한게 아쉽...) 캐시메모리는 속도가 빠른장치와 느린장치에서 속도차이의 병목 현상을 줄이기 위한 메모리를 말한다. 1. 캐시 메모리 (Cache Memory) - CPU가 주기억장치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올 때,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한 뒤, 다음에 이용할 때 주기억장치가 아닌 캐시 메모리에서 먼저 가져오면서 속도를 향상시킴 - CPU에는 캐시메모리가 2~3개 정도 사용이 됨 - 속도와 크기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L1 캐시..
2024.01.28 -
[pandas] loc와 iloc의 차이 그리고 사용방법
Pandas의 iloc, loc은 무엇인가? - iloc의 i는 index를 표현하는 말로 말그대로 index활용한 지정방법이다. -DataFrame.iloc[index_index, column_index] -loc는 index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index명, column명을 통해서 지정하는 방법이다 -DataFrame.iloc[index_name, column_name] 사용방법 예시로 iris데이터를 불러와 실행 해보았다. iloc는 index_index인 2, column_index인1을 넣어 결과를 추출했다. loc는 index_name인 2, column_name인 'sepal_width'를 넣어 결과를 추출했다. iris의 데이터 셋은 인덱스가 숫자로 되어있어 index_name에 2를 넣..
2024.01.04 -
[Python] 시퀀스 자료형 (sequence type)
시퀀스 자료형이란 ? 파이썬에서는 각각의 요소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형(sequence type) 라고 합니다. ex)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문자열, range와 같은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들을 지칭합니다. 리스트 : [1, 2, 3, 4] 튜플 : (1, 2, 3, 4) range : range(5) 문자열 : 'Hello' 각 항목은 순서가 있고 순서에는 인덱스라는 번호가 부여 됩니다. 양수를 사용한 인덱싱은 0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반대로 음수를 사용한 인덱싱은 마지막 부터 -1로 시작하게 됩니다. 시퀀스 자료형들은 공통적으로 인덱싱(indexing), 슬라이싱(slicing), 덧셈연산(adding), 곱셈연산(multiplying)을 할 수 있으며 공통적인 내장 함수로 시퀀스..
2023.12.30